자율주행 기술개발 프로젝트 본격 착수 –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을 위해

산업 통상 자원부와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 국토 교통부 경찰청의 4부처가 공동 추진한다”자동 운전 기술 개발 혁신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최종 통과했다.

이번 예비 타당성 조사에서 자동차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과 부처 간 실질 협력 체계 구축이 가능했다.

”자동 운전 기술 개발 혁신 사업”는 2019년 10월에 수립했다”미래 자동차 발전 전략”을 이행하기 위해서 산업부 주도로 4부처가 공동 추진한 사업에서 2021년부터 2027년까지 7년간 총 1조 974억원을 투입하고 추진한다.

”자동 운전 기술 개발 혁신 사업”는 세계 최고 수준의 융합형 레벨 4완전 자동 운전 기반의 완공이 목표이다.

자동차 산업이 지능화·서비스화되며, 교통 사고 해소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자동 운전 기술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어 향후 미래형 자동차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주행 차선 이탈 방지, 차량 간격 유지 등 운전자 주행을 보조하는 자동 운전 수준 2수준의 차량이 양산되고 있다.

레벨 4는 드라이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차량 스스로 상황을 인지·판단하고 주행하는 단계이다,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은 ▲차량융합 신기술 ▲ICT융합 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 창출 및 ▲생태계 구축 등 5개 분야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자율주행 시스템을 위한 영상 인식·처리 기술, 차량 플랫폼 기술, 차량 부품·시스템 평가 기술 등을 개발하는 ‘차량 융합 신기술’과 차량 엣지 클라우드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차량 통신·보안, 자율주행 AI SW 등을 포함하는 ‘ICT 융합 신기술’을 개발한다.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 등 교통 인프라 정보와 자율주행 기술을 연계해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 대중교통 자율주행 신산업 창출과 교통약자 이동지원과 같은 사회적 현안 해결을 위한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 생태계 기반 완성을 위해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과 표준화 기반을 확보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법·제도를 개선하는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을 지원한다.

“자동 운전 기술 개발 혁신 사업”는 4부서가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 범부처 사업인 부서 간 기획·예산·집행 등 전 단계에서 벽 없는 협업을 강화하는 “부서 매칭형 새 협력 모델”을 적용한다.

특히 자동차 분야의 핵심 기술 개발·인프라·실증·서비스뿐만 아니라 표준화 법·제도 등도 포함한 종합적인 패키지형 지원을 함으로써 부처 간 산발적·경쟁적 사업 추진에 의한 투자 비효율성을 해소한다.

또 부처 간 실질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서 사업의 성과를 높일 예정이다.

앞으로 4부처는 모든 역량을 결집하고”자동 운전 기술 개발 혁신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향해서 향후 범 부처 협의체를 상시화하고 효율적인 사업 통합 관리를 위한 “자동 운전 융합 사업단(가칭)”를 설립·운영하는 등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다 계획이다.